고객센터 | 광고문의 | 제휴문의 | 제보하기

국제유가 두달새 ‘반토막’... 휘발유



> 증권

증권금융 ··· '증권업 위기'에 역할 못한다.

기사입력 : 2020-06-15 15:10:00 최종수정 : 2020-06-15 15:10:00


증권금융이
증권업계 안전판으로 거듭나려면 그에 걸맞은 자본력과 기능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증권업계에서 한국증권금융의 소극적 태도가 도마에 올랐다.

 

한국증권금융은 투자자들이 증권사 계좌에 넣은 예탁금을 재원으로 증권사에 단기자금 등을 빌려주는 국내 유일의 증권금융 전담회사로서 증권사에 자금 공급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증권사의 은행이라고도 불린다.

 

지난 3주가연계증권(ELS) 마진콜(증거금 추가 납입 통지) 사태에서 증권금융을 둘러싼 논란이 불거졌다.

 

당시 ELS 자체 헤지 규모가 컸던 대형 증권사들이 하루 최대 수조원에 달하는 마진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단기자금시장과 채권시장에 큰 혼란이 발생했다.

 

증권사들은 주된 자금조달 창구인 기업어음(CP) 금리가 급등한 데다 보유 채권을 내다 팔 채권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실탄 마련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편 증권금융이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등 자본건전성을 이유로 대출 확대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에 증권사들은 다급히 증권금융에 대출을 확대해달라며 ‘SOS’를 쳤지만 이마저 원활하지 않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유동성 부족으로 약정 한도만큼 대출을 늘려달라고 요청했는데 증권금융이 마치 비올 때 우산을 빼앗는 것처럼 공급을 주저해 난감했다고 하며 평상시 증권사들은 증권금융 대출을 얼마까지 끌어올 수 있다는 약정 한도를 넉넉히 갖고 있었다고 했다.

 

증권금융은 금융위원회가 증권사 유동성 지원을 확대하라고 압박하고 나서야 증권사 대출 규모를 6000억원에서 18000억원으로 증액했다.

 

증권사들은 증권금융의 보신주의와 함께 자본력과 기능이 제한된 점도 문제로 꼽았다.

 

한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은행권은 한국은행, 기업은 산업은행이 든든하게 뒷받침하는데 증권사를 상대로 증권금융이 그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긴 어렵다증권금융이 증권업계 유동성 위기 시 최종 대부자로 기능하려면 CPABCP 등 단기채도 매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증권금융의 자본금 확충과 함께 역할 범위 확대를 둘러싼 논의가 필요하다고 하며 증권금융은 민간기업 형태고 자본력도 약해 적극적 금융지원을 떠맡기엔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시사한국저널 김현우 기자>

 

종합정보 미디어 시사한국저널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